체리피킹(Cherry picking), 출구전략(Exit strategy)에 대해 공부해 봅니다.
체리피킹(Cherry picking)은 본인에게 불리한 사례나 자료 및 정보를 감추고 유리한 자료를 보여주며 자신의 견해나 입장일 지켜내려는 편향적인 태도를 말합니다.
출구전략(Exit strategy)은 경기 침체기에 동원되었던 경기 부양 정책을 다시 정상 궤도로 돌려놓는 정책방안을 이야기합니다.
체리피킹 (Cherry picking)
체리피킹이라는 용어의 유래는 사람들이 체리나 다른 과일을 따서 가장 크고 익은 것만 골라내는 행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빛깔 좋은 과일 위주로 채집해 유통시키고 품질이 떨어지는 과일들은 버리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합니다. 자신이 생산하는 과일에 대한 나쁜 평판을 우려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확한 과일만 보게 되는 도매상이나 소비자들은 과수원의 과일이 다 좋을 것이라는 잘못된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채집된 과일은 과수원의 과일 중 일부 표본에 불과한데 표본을 전체 표본으로 여기고 잘못된 환상을 갖기 되는 것이며 이것을 통계학적으로 '표본 선택의 편향성'이라고 부릅니다.
이처럼 체리피킹은 과수원 채집과 같이 정보나 자료를 선별하여 부분적으로만 공개하거나 유리한 부분만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처음으로 20세기에 미국에서 생겨났으며, 원래는 비판적인 태도를 지닌 사람이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에서 유리한 부분만을 골라내는 행동을 비유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체리피킹은 특정 주장이나 견해를 뒷받침하기 위해 부분적으로만 정보를 제시하거나 유리한 자료만을 강조하여 다른 정보를 무시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주로 자신의 입장을 옹호하거나 타당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며, 전체적인 사실에 대한 왜곡이나 완전한 이해를 방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체리피킹은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치에서는 특정 정책의 성과를 강조하기 위해 유리한 통계만을 사용하거나 부정적인 결과를 무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광고나 마케팅에서는 제품의 장점만을 강조하고 단점을 감추어 소비자의 관심을 유도하기도 합니다.
- 연구 결과의 일부 공개: 연구자가 연구 결과 중 자신의 가설을 뒷받침하는 부분만을 강조하고 다른 부분은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연구 결과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 통계 자료의 선택적 공개: 정치인이나 광고주가 특정 통계 자료를 선택적으로 공개하여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거나 부정적인 자료를 숨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사람들의 의견을 조작하거나 오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뉴스의 편향적 보도: 언론이 특정 이슈를 다룰 때 특정 정보를 강조하거나 무시함으로써 특정 입장을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방향으로 보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체리피킹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리뷰의 조작: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업체가 온라인에서 자신의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리뷰를 조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을 속이거나 오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연설이나 논평의 일부 고려: 토론자나 작가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특정 사례나 증거만을 고려하고 다른 관련 정보를 무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듣는 이들에게 왜곡된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체리피킹의 문제는 전체적인 상황을 왜곡하고 완전한 이해를 방해한다는 점에 있습니다. 이는 결정을 내릴 때 오인을 일으킬 수 있으며, 정보를 제공받는 사람들이 완전한 사실을 알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보를 판단할 때 항상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구전략 (Exit strategy)
출구전략(Exit strategy)은 경기 침체나 금융 위기와 같은 어려운 경제적 상황에서 동원된 경기 부양 정책을 정상화하고 안정적인 경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의미합니다. 경기 부양 정책은 대개 정부나 중앙은행이 경제를 활성화하고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그러나 경제가 안정화되고 성장세가 회복되면 이러한 부양책을 철회하고, 경제를 정상화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출구전략은 이러한 부양책을 철회하는 절차와 방법을 결정하는 것으로, 너무 빠른 철회는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너무 늦은 철회는 인플레이션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출구전략의 핵심 요소는 경기 상황을 분석하고 경제 지표를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시기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경기가 안정화되고 고용률이 상승하는 등의 긍정적인 지표가 나타나면 출구전략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출구전략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 경기 상황 평가: 정부나 중앙은행은 경기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하여 경제가 안정화되고 성장세가 회복되었는지를 확인합니다. 이를 위해 GDP 성장률, 실업률, 인플레이션율 등의 경제 지표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부양책 철회 계획 수립: 경기 부양책을 철회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 계획은 부양책의 종료 일정, 철회 방법 및 절차, 그에 따른 조치 등을 포함합니다.
- 점진적인 철회: 출구전략은 일반적으로 점진적으로 이루어집니다. 급작스럽게 부양책을 중단하는 것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철회 과정은 점진적이고 예측 가능해야 합니다.
- 시장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출구전략을 실행하기 전에 관련 이해관계자들에게 출구전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설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시장에 안정감을 제공하고 출구전략의 성공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모니터링과 조정: 출구전략이 실행된 후에도 경제 상황을 계속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조치를 조정해야 합니다. 예상치 못한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유연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출구전략의 성공은 경제의 안정과 성장을 지속시키는 데 중요합니다. 적절한 시기에 출구전략을 실행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경제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도록 할 수 있습니다.
출구전략(Exit Strategy)은 경기 부양 정책이나 위기 대응 정책을 시행한 후, 이러한 정책들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적절한 시점에 그 효과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정상 궤도로 돌아가는 과정을 설계하는 것을 말합니다. 경기 침체로 인해 동원된 부양 정책은 시장을 안정화시키고 경기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이러한 정책이 지속되면 과도한 경기 부양이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출구전략은 경기가 안정화되고 회복되면 부양책을 천천히 철회하고, 경제가 다시 균형을 이루도록 조치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출구전략에는 여러 가지 요소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접근 방식이 사용됩니다:
- 금융정책의 조절: 중앙은행은 경기 부양을 위해 낮춰진 기준금리를 다시 정상 수준으로 조절합니다. 이는 경제가 회복되면 인플레이션을 조절하고 금융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입니다. 출구전략은 이러한 금융정책의 조절을 중심으로 합니다.
- 재정정책의 변화: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시행한 재정 정책을 정상화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는 지출 절약, 세금 인상, 예산 조정 등의 조치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 부동산 시장의 안정화: 경기 침체 기간 동안 시행된 부동산 관련 정책은 출구전략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부동산 시장의 안정화를 위해 주택 구입 보조금이나 대출 규제 등의 조치를 철회하거나 조정합니다.
- 고용 정책의 조절: 경기 부양을 위해 시행된 고용 정책도 출구전략의 대상입니다. 임시 고용 프로그램의 종료, 고용 보호 조치의 철회, 산업 지원금의 감축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 산업 및 국제 무역 정책의 조정: 경기 부양을 위해 시행된 산업 정책이나 국제 무역 정책도 출구전략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수출 보호주의의 완화, 무역 장벽의 조정, 산업 보호 정책의 철회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출구전략의 예시는 경기 침체로 인한 위기 대응 정책이나 경기 부양 정책을 종료하고, 경제를 안정화시키고 성장을 지속하기 위한 조치들로서 정부나 중앙은행에서 시행될 수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계효용, 한계비용 경제용어 2개 공부하기 (1) | 2024.03.13 |
---|---|
세계 대공황, 금융위기_경제용어 하루에 2개 공부하기 (0) | 2024.03.11 |
지식의저주(The Curse of knowledge), 창조적파괴(Creative destruction) (1) | 2024.02.27 |
주인-대리인 문제(Principal-Agent problem), 지니계수(Gini coefficient) (1) | 2024.02.27 |
전망이론(Prospect theory), 제논의 역설(Zeno's paradox) (1) | 2024.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