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법칙 랜덤워크가설(Random walk hypothesis), 레드오션(Red ocean)을 알아보려합니다.
랜덤워크 가설은 규칙적인 움직임 또는 기준을 찾을 수 없어서 주가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주장입니다. 술에 만취한사람의 걸음걸이 보폭과 방향이 랜덤으로 결정되듯이 주가도 예측할 수 없는 움직임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레드오션은 경쟁이 치열해 성공의 가능성을 낙관하기 힘든 시장을 이야기 합니다 출혈경쟁을 비유하는 레드와 시장을 비유하는 바다를 절묘하게 결합한 합성어로 과열된 분야에 많이 쓰이는 용어입니다.
랜덤워크 가설 (Randomwalk Hypothesis)
랜덤워크 가설(Random Walk Hypothesis)은 주식 시장 등 금융 시장에서 가격 변동이 무작위하게 발생하며, 과거의 가격 변동은 미래의 가격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가설을 의미합니다. 이 가설은 주식 시장이 효율적이며 정보가 공정하게 반영된다고 가정하는 효율적 시장 가설의 일부로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랜덤워크 가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가격 변동의 무작위성: 랜덤워크 가설에 따르면 가격은 과거의 가격 변동과는 독립적으로 무작위하게 변동합니다. 따라서 어떤 시점에서도 가격이 상승할지 하락할지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효율적 시장 가설과 연관: 랜덤워크 가설은 효율적 시장 가설의 일부로서, 정보가 공정하게 반영되고 가격이 합리적으로 형성된다는 가정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시장에서 이익을 얻기 위한 예측이나 전략은 랜덤워크 가설에 따르면 성공할 수 없습니다.
- 강정상태와 약정상태: 랜덤워크 가설에는 강정상태(Strong-form)와 약정상태(Weak-form)가 있습니다. 강정상태에서는 모든 정보가 가격에 반영되어 있고, 따라서 내부자 정보나 전략적 거래도 무의미합니다. 반면 약정상태에서는 공개된 정보만이 가격에 반영되어 있으며, 따라서 내부자 정보는 가격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랜덤워크라는 용어를 대중에게 알리게 된 계기를 마련한 사람은 1973년 '월 스트리트의 랜덤워크'라는 저서를 출간한 프린스턴 대학의 말킬교수인데 저서를 집필하는 과정에서 한가지 실험을 하게 됩니다. 제자들에게 가상의 50달러짜리 주식을 나누어 주고 동전을 던져 매일 주식의 마감 가격을 정하도록 하였습니다. 동전의 앞면이 나오면 전일종가에서 0.5달러를 더하고, 동전의뒷면이 나오면 전일종가에서 0.5달러를 깎도록 해 도출된 주가의 움직임을 차트로 그려낸 뒤 어느 주식 전문가에게 보여주었는데 이를 본 주식 전문가는 해당 주식을 사야 한다고 조언했다고 합니다.
동전던지가로 주가 움직임에 추세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본 말킬교수는 주가예측이 가능하지 않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위 견해와 달리 MIT 경영대학원의 앤드루 로, 아치맥킨레이 교수는 저서 '월 스트리트의 논랜덤워크'에 주식시장에 추세가 존재하며 주가 예측이 어느정도 가능하다고 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랜덤워크 가설은 금융 이론과 실제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개념으로, 시장 참여자들이 가격 변동을 예측하거나 이익을 얻기 위한 전략을 수립할 때 고려해야 합니다. 이 가설은 주식 시장의 불확실성을 강조하며, 투자자들이 장기적인 투자 전략과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두도록 격려합니다.
레드오션(Red ocean)
레드 오션은 경영 전략 용어로 사용되며 이미 경쟁이 치열하고 시장이 포화된 상태를 가리킵니다. 이 용어는 이미 존재하는 시장에서 기업들이 서로 경쟁하면서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경쟁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빨간 색의 바다처럼 경쟁으로 인해 물이 붉게 물들어 있는 모습을 연상시킵니다.
레드 오션에서는 기업들이 가격 경쟁, 제품 다양화, 마케팅 활동 등을 통해 서로 경쟁하고,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러한 경쟁은 종종 가격 하락이나 이익 감소로 이어지며, 기업 간의 싸움은 소비자에게 혜택을 주는 것이 아니라 시장의 가치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레드 오션에서의 경쟁은 주로 기존 시장의 경쟁자들과의 경쟁에 집중됩니다. 기업들은 상대적인 우위를 위해 제품 혁신, 비용 절감, 고객 서비스 개선 등 다양한 전략을 시도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은 종종 비슷한 제품과 서비스를 가진 다른 기업들과 경쟁하기 때문에 제한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레드 오션은 기업들에게는 위험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가격 경쟁이 치닫고, 이익율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 시장에서의 경쟁은 새로운 시장이나 새로운 수익원을 찾는 데 집중하지 못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레드오션의 예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음료수 산업: 콜라와 펩시와 같은 대형 음료회사들은 이미 많은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 간의 경쟁은 치열합니다. 새로운 음료수 제품이나 마케팅 전략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습니다.
- 항공사 산업: 항공사들은 이미 국제 및 국내 노선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가격 경쟁과 서비스 경쟁이 치열합니다. 기존 항공사들뿐만 아니라 저비용 항공사도 시장에 진입하여 레드 오션을 더욱 격화시키고 있습니다.
- 전자제품 시장: 스마트폰, 컴퓨터, TV 등의 전자제품 시장은 이미 많은 기업들이 경쟁하고 있는 레드 오션입니다. 기술의 발전과 제품의 질적 향상으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기존 기업들과 새로운 업체들 간의 경쟁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들은 레드 오션에서의 경쟁을 피하고, 블루 오션(Blue Ocean) 즉, 경쟁이 거의 없는 혹은 전혀 없는 시장을 찾는 전략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이는 기존 시장의 틀을 벗어나 새로운 가치 창출과 혁신을 통해 경쟁을 회피하고 새로운 시장 공간을 찾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온티에프역설(Leontief paradox), 린달균형(Lindahl equilibrium) (0) | 2024.02.19 |
---|---|
레몬시장(Lemon market), 레버리지효과(Leverage effect) (1) | 2024.02.18 |
눈덩이효과(snowball effect), 대체효과와 소득효과(Substitution & Income effect) (0) | 2024.02.18 |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 노변정담(Fireside chat) (0) | 2024.02.18 |
기회비용체증의 법칙(Law of increasing opportunity cost), 나비효과(Butterfly effect) (0) | 2024.02.17 |